전공소개
기독교교육 (Christian Education)
1981년 설립된 기독교교육학은 기독교교육 분야에 소명 받은 이들에게 신학 및 교육학의 이론과 실천을 배우고 익히게 하여 교회와 사회현장에서 어린이와 청소년, 성인과 노인들에게 복음의 진리를 가르치고 그리스도의 인격을 함양시키는 분야이다. 또한 기독교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근거로 교회 및 사회에 기여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연구, 개발하는 학문이다.
과정소개
기독교교육학 이해 (Understanding Christian Education)
본 과목은 신학(기독교)과 교육학이라는 두 가지 학문 영역에서 형성되는 다양한 기독교교육학의 이론과 실제를 제안한다. 이 과목에서는 신학과 교육학의 제반 기초 이론, 이론과 실천의 관계, 인간학 및 이 주제와 관련된 연령층 연구(유아교육~노년교육) 기독교 신앙형성을 가능케 하는 다양한 교육현장론(가정, 교회, 학교, 사회 등), 교육론과 목회론, 교사론과 교육적 목회자론, 교육과정론, 교수·학습론, 교육행정론 등을 다룬다.
성서교육모형 세미나 (Seminar on Bible Study Models)
본 과목은 기독교교육학자와 성서신학자가 팀티칭 방식으로 진행되는 세미나로서, 평신도를 위한 다양한 성서교육모형을 제시한다. 이 과목에서는 소/대집단 성서교육법, 놀이를 통한 성서교육법 연구, 주석 및 성서해석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성서교육모형을 탐구한다.
영적 지도와 교육 (Spiritual Direction and Education)
본 과목은 기독교교육적 관점에서 다양한 영적 지도의 이론과 실제를 체계적으로 소개한다. 이 과목에서는 고대에서 중세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기독교교육에서 유의미한 영성 신학과 교육학적 사상을 연구한다.
기독교교육학 주제 연구 I, II (Topical Studies in Christian Education I, II)
본 과목은 간학문적 시각에서 다양한 기독교교육학의 특정 주제를 제시한다. 이 과목에서는 사상과 역사적 문제(실존주의, 해석학, 사회비판이론, 과정철학, 다원주의 한국사상 등)에서부터 현장 문제(개혁교육운동, 대안교육적 실천, 몸, 여성, 자연, 창조적 교수·학습 등)에 이르는 다양한 범위를 연구한다.
사랑의 비평과 교육 (Criticism of Love for Education)
본 과목은 목회 현장에서 직면하게 될 사랑의 문제를 인문학적 차원에서 비평적으로 고찰함과 동시에 ‘다양한 사랑의 사태(occasion)들에 대하여 어떻게 완성도 높은 이해를 가진 사랑하기(doing love)’와 ‘사랑 지도(guiding love)’를 할 것인가?’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접근을 제시한다. 이 과목은 사랑의 개념 유목 작업을 수행하며, 그 유목 작업을 근거로 하여 세미나 시간마다 주어지는 사랑의 사태에 대한 다양한 질문에 대답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예술, 미학, 기독교교육 (Curriculum Design in Christian Education as Artistic Works)
본 과목은 교회교육의 커리큘럼을 형성할 수 있는 역량을 양성하는 데 초점을 둔다. 커리큘럼을 디자인하고, 실천하는 것은 교육의 예술적 작업이다. 디자인하고, 구현하고, 경험하는 것은 교육적 미학이다. 따라서 이 과목에서는 기독교교육의 커리큘럼을 형성하고, 실천하고, 경험할 수 있는 연구를 시도한다.
기독교교육 사상연구 I, II (Studies on Christian Educators I, II)
본 과목은 기독교교육 분야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역사적으로 의미 있게 평가받고 있는 고전적 인물과 현대적 사상가의 교육 및 그 현대적 의미를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또한 타 종교 문화적 삶의 자리에서 성장한 종교교육 사상가들을 본문으로 하여 기독교교육적 시각에서 대화를 시도한다.
교육과 신학 (Christian Education and Theology)
본 과목은 신학적 관점에서 기독교교육학의 본질과 의미를 연구한다. 이 과목에서는 신학과 교육학을 기반으로 성서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하게 하는 학문으로서의 기독교교육학의 주요 이론과 실제를 모색한다.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과 실제 (Theory and Practice of Curriculum Development)
본 과목은 간학문적 시각에서 기독교교육 현장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다양한 이론과 실제를 소개한다. 이 과목은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개발 개념, 기독교 교육과정 개발 이해, 교회 기독교 교육과정 개발사, 교단별 교육과정 개발 및 분석, (기독교) 교육과정 이론과 실제 등을 탐색한다.
기독교교육방법론 I: 기독교교육의 역사를 통한 기독교교육방법론 세미나 (Christian Education Methodology I: Seminar on Christian Education Methodology through the History of Christian Education)
본 과목은 기독교교육의 생성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변천 연구를 통해 기독교교육의 방법을 제안한다. 이 과목에서는 기독교교육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대 구분과 각 시대의 방법론을 모색하며 생성형 AI 시대를 준비하는 구체적인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기독교교육방법론 II: 놀이와 기독교교육 (Christian Education Methodology I: Theory and Practice of Curriculum based on the Play)
4차 산업혁명에서는 창의적 인재 또는 융합적 사고를 가진 인재를 필요로 한다. 시대의 필요에 맞는 인재양성을 위해서 새로운 교육 방법이 요구된다. 과거에 놀이와 교육은 분리된 것, 대척되는 것으로 여겼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요소 간의 융합, 장르 간의 융합, 심지어는 정반대의 것으로 보는 놀이와 교육이 융합된다. 이에 놀이와 교육의 융합적 접근으로서 게이미피케이션이 주목받고 있다.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은 학습자의 동기와 학습참여를 촉진하는 학습방법이다. 학습내용에 게임적 사고와 게임 기법을 활용해 학습자가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하고, 모든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강의는 놀이와 게이미피케이션의 이론과 실제를 연구한다.
기독교교육 인간학 (Theory of Christian Education for the People of Kingdom of God)
교육학에서는 특정한 인간이해가 늘 전제되고 있다는 점에서 오늘날 교육학과 기독교교육학에 유의미한 인간학적 논의를 하기 위한 것이다. 다양한 인간학적 연구 중에서 특히 철학적 인간학과 신학적 인간학 및 교육학적 인간학에 초점을 맞추어 접근한다.
성과 기독교교육 (Gender and Christian Education)
사랑은 전통적으로 연애와 결혼 같은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문제로 여겨져 왔지만, 지금은 동성애, 동성 결혼 법제화와 같이 사회-역사적인 차원에서 민감한 문제가 되고 있다는 의미에서 ‘사랑의 문제’는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목회적 사안이다. 이 수업은 목회 현장에서 직면하게 될 이러한 사랑의 제문제를 인문학적 차원에서 비평적으로 고찰함과 동시에 ‘다양한 사랑의 사태(occasion)들에 대하여 어떻게 완성도 높은 이해를 가진 사랑하기(doing love)’와 ‘사랑 지도(guiding love)’를 할 것인지?’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과 목회 ((Education and Ministry)
미래∙교육∙목회를 개별적이고, 통합적인 시각에서의 파악을 통해 교육적 목회와 목회적 교육의 새 접근을 시도해 보고자 한다. 특별히 본 과목에서는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와의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과거를 예측하고”, “미래를 기억하는” 방법으로 교회와 교육의 어제, 오늘, 내일의 모습을 고찰한다.
사회, 정치, 기독교교육 (Prejudice and Christian Education)
오늘날 점점 더 심각해지는 자본주의로 말미암아 파생되는 사회문화적 편견은 더 깊은 성숙한 관계로 들어가지 못하고 갈등과 분열을 초래하여 더욱 악화되어가는 모습들이다. 이러한 악의 축으로서 편견을 연구하고자 한다. 따라서 먼저 편견이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와 함께 다양한 편견사례를 살펴보고 포스트모던 사회의 인간지배 음모를 노출시키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런 편견들을 어떻게 접근하고 극복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들을 다양한 사상가들의 해석을 통해 미래 사회정치 교육을 위한 신앙교육적인 방법과 프로그램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정교육목회 (Family Education Ministry)
이 과목은 수업 참여자로 하여금 자신의 목회의 현장에서 어떻게 신앙공동체를 세워 그 공동체에 참여하는 개인과 가정으로 하여금 하나님의 나라를 경험하게 할 수 있는지 그 구체적인 방법론을 함께 배우고 실제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목회자와 사역자로서 자신의 목회 현장을 분석하기 위해서 기독교교육의 5가지의 메인 주제(who, what, why, where, and how)에 대해서 알아본다. 그 이후, 어떻게 이러한 주제들이 파울로 프레리의 generative themes, 토마스 그룸의 sharing faith 등, 기존의 대표적인 기독교교육이론 속에서 적용되었는지 연구해 본다.